임영웅은 오늘날 어떻게 국민가수가 됐을까?
대학교수를 비롯한 전문가들 분석은
절제하는 창법과 트로트 포함, 다채로운 레퍼토리
[yeowonnews.com=김석주기자]가수 임영웅이 국민적인 인기를 끌게 된 배경에는 절제하는 창법과 트로트에 국한되지 않는 다채로운 레퍼토리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1일 가요계에 따르면, 김희선 국민대 교수와 김희선(동명) 경기대 교수는 지난달 30일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열린 제35회 한국대중음악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이런 내용을 발표했다. 한국대중음악학회와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가 공동 개최한 이번 학술대회는 임영웅을 주제로 그의 음악과 그를 둘러싼 담론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두 교수는 임영웅이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속으로 삼키는 방식의 창법을 구사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특징은 오디션 ‘미스터 트롯’에서 경연곡으로 선보인 노사연의 ‘바램’ 무대에서 돋보였다고 한다. 두 교수는 “‘바램’과 같은 곡은 음역의 폭이 좁고 대체로 낮아 자칫 내지르기 쉬운 노래”라며 “임영웅은 후렴 중 크고 힘차게 부르다가도, 절제하며 삼키는 듯한 감정 처리를 보여줌으로써 다른 해석을 보여줬다”고 했다.
읊조리는 듯 발음하면서도 정확한 발음 구사 역시 특징으로 꼽았다. ㅅ(시옷)이나 ㅆ(쌍시옷) 등의 자음이 만들어내는 치찰음(齒擦音)은 대중가요 보컬에서 거슬리는 소리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데, 임영웅은 치찰음을 자주 활용하면서도 이를 거슬리지 않게 처리했다는 것이다.
두 교수는 임영웅이 트로트 가수로 데뷔하긴 했으나, 장르를 트로트에 국한하지 않고 활동한 점도 인기 요인 중 하나라고 봤다. 록·댄스·힙합·포크·재즈 등 장르를 확장하면서 다채로운 레퍼토리를 갖추게 됐다는 것이다. 두 교수는 “최근 임영웅이 댄스와 록 장르 곡에서는 트렌디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발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도 흥미롭다”고 짚었다.
임영웅이 스타디움 콘서트를 매진시키는 큰 팬덤을 보유한 까닭 역시 이러한 장점에서 나온다고 두 교수는 주장했다. 두 교수는 “팬들은 트로트 본연의 창법을 벗어나는 절제된 창법, 편안한 음색, 진정성 있는 목소리, 가사 전달력, 위로가 임영웅의 본질이며 임영웅을 사랑하는 이유라고 밝히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임영웅은 트로트를 넘어 아티스트의 면모를 갖추며 국민가수로서의 명성을 얻고, 임영웅이라는 장르를 구축하고 있다”고 했다.
이외에도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임영웅과 관련한 여러 담론이 나왔다. 장유정 단국대 교수는 학술대회에서 언론 기사를 바탕으로 임영웅과 관련한 키워드를 분류했고, 권정구 충북대 교수는 임영웅 노래의 저작권 현황을 분석했다.
|
|||
|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